yourhopecatch

     

여는말

따뜻한-쉼터-내부에서-한국인-초등학생-아동이-보호자와-함께-책을-읽으며-안정된-표정으로-앉아있는-장면

“맞고 있던 아이를 신고했는데, 그 다음은 어떻게 되죠?”
신고는 시작일 뿐, 그 이후의 시스템이 없다면 아이는 또 다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학대피해아동 쉼터”다. 긴급하게 분리된 아이들이 지속적인 보호와 회복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곳, 그곳이 바로 쉼터이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법적으로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제도의 법적 근거부터 대상, 기능, 입소 절차, 시설 기준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학대 상황을 마주한 시민, 실무자, 보호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정보다.

 

 

 

학대피해아동 쉼터란?

학대피해아동 쉼터는 보호자가 아동을 학대하여 가정 내 안전한 보호가 불가능할 경우, 아동을 임시 분리하고 일정 기간 동안 보호·치료·심리상담·생활지원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아동복지법 제52조에 근거하여 전국 시·도 지자체가 설치·운영하며, 아동보호전문기관, 경찰, 시군구 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의 판단에 따라 긴급입소가 가능하다.

 

단순한 숙박공간이 아닌, 아동의 정서적 회복을 위한 전문 서비스와 보호가 이뤄지는 공간이다.

 

설치 목적과 법적 근거

설치 목적은 아래와 같다.

 

① 아동학대로부터 긴급 보호와 회복 지원
② 학대 상황에서 심리적 안정과 치료 제공
③ 장기 보호나 가정 복귀 전 중간 단계 보호공간 마련
④ 법적 절차(수사·재판) 중 아동의 권익 보장

 

아동복지법 제16조, 제52조, 「아동학대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설치되며, 운영 기준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각 지자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학대피해아동 쉼터는 구조 그 자체로 아동 인권의 시작점이 된다.

 

입소 대상과 입소 절차

입소 대상은 다음과 같다.

 

① 신체적·정서적·성적·방임 등 학대를 받은 아동
② 가정으로의 복귀가 불가능하거나 위험한 경우
③ 보호자 부재, 회피, 거부 등으로 임시 보호가 필요한 경우
18세 미만의 미성년자로 학대 피해 사실이 인정된 경우

 

입소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아동보호전문기관 또는 경찰이 아동학대 상황 인지
- 시군구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또는 보호전문기관에서 위기 개입 및 분리조치 결정
- 쉼터 협의 후 입소동의서 작성 및 입소
- 초기 진단 및 개별 보호 계획 수립

 

입소는 통상 3개월~6개월까지 가능하며, 연장 필요 시 재심의를 거쳐 1년까지 보호 가능하다.

 

쉼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쉼터는 단순 보호 공간을 넘어 다음과 같은 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 24시간 생활 보호: 숙식, 위생, 의류, 생필품 제공
- 심리치료: 외상 후 스트레스(PTSD) 회복을 위한 미술·놀이·상담 치료
- 학습 지원: 학교 연계 또는 자체 학습 지도
- 사회 적응 프로그램: 집단생활 교육, 감정표현 훈련
- 법률·의료 연계: 병원 진료, 변호사 상담 등

 

쉼터에는 사회복지사, 심리상담사, 간호사, 생활지도원 등이 상주하며 아이의 회복을 일대일로 돕는다.

 

전국 쉼터 운영 현황과 향후 과제

현재 전국에는 남아전용, 여아전용, 남녀혼합형, 미취학아동형, 장애아동전용형 등 다양한 쉼터가 운영 중이다.

 

2024년 기준 총 76개소 이상 운영 중이며, 복지부와 지자체는 2027년까지 전국 시·군·구 단위 확대 설치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지역은 쉼터 접근성이 낮고, 시설 종사자의 근무 여건 개선 및 퇴소 후 사후관리 강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아이들이 단지 안전한 공간에서 자고 먹는 것이 아닌, ‘치유받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진정한 과제다.

 

 

 

맺는말

“아동은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이 말은 선언이 아니라 책임이다. 학대피해아동 쉼터는 그 책임을 지키기 위한 국가의 실질적인 장치다.

 

혹시 지금 누군가의 울음이 들린다면, 지금 이 순간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우리의 작은 신고와 제도가 아이의 삶 전체를 바꿀 수 있다.

 

이 블로그에서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심리치료 지원, 학대피해아동 전용의료비 등 유관 서비스도 함께 다루고 있으니, 꼭 참고해보자.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