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hopecatch

     

여는말

갈색-경주마가-흙-트랙을-빠르게-달리며-앞에-보이는-초록색-달러기호에-집중하고-있고-기수는-녹색-유니폼과-검정-헬멧을-쓴-채-말등에-올라-전방을-주시하며-달리는-동시에-말-발밑에는-작고-하얀-데이지꽃이-피어-있으며-경주와-돈에-몰두한-사람이-작은-소중함을-놓치는-상황을-은유적으로-표현한-레트로-풍의-디지털-일러스트

퇴근 후 늦은 시간, 지하철에 앉아 핸드폰을 보며 한숨 쉬던 선배가 문득 말했다. “나 진짜 열심히 살았거든? 그런데 아무것도 기억 안 나. 돈만 벌다 인생이 지나간 느낌이야.”

 

그 말을 들으며 왠지 모르게 가슴이 쿡 찔렸다. 지금 나도, 아침에 눈을 뜨면 출근하고 밤늦게 퇴근해서 누워 자는 것이 반복이다. 쉬는 날조차 ‘생산적인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돈을 벌지 않으면 불안하다.

 

과연 우리는 왜 이렇게 달리고 있는 걸까? 그리고 그 끝에서 정말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까?

 

 

 

① 돈은 수단이지 목적이 아니다

돈은 분명 중요하다. 하지만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돈 자체를 인생의 목적처럼 여기기 시작할 때 생긴다. “좀만 더 벌면 행복해질 거야”라는 생각은 끝이 없다.

 

① 월 300만원 → 400만원 → 500만원, 기준은 계속 높아짐
② 돈의 양과 행복의 정도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음
③ 생존을 위한 돈 → 욕망을 위한 돈 → 비교를 위한 돈으로 변질

 

한국은행의 2024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월소득 500만 원 이상인 사람 중 ‘삶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1%에 불과했다.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으면, 삶의 질은 돈보다 ‘관계’와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② 나만의 속도로 달리는 연습

경주마처럼 앞만 보고 달리는 사람들은 옆을 보지 않는다. 하지만 인생은 마라톤이고, 속도보다 방향이 더 중요하다.

 

① ‘남보다 느리면 안 된다’는 조급함이 삶을 병들게 함
② SNS 비교는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대표적 원인
③ 내 삶의 목표와 가치에 집중하면 오히려 방향이 선명해짐

 

실제로 하버드대 성격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삶을 남과 비교하지 않고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일수록 스트레스 수치가 낮고, 평균 기대 수명이 6.7년 길었다.

 

③ '작은 것'을 놓치지 않는 감각 회복

바람이 선선한 아침, 길가에 핀 작은 꽃, 아이의 웃음소리, 가족과 나눈 짧은 대화. 이런 것들이 인생을 기억에 남게 만든다. 그런데 이런 작고 소중한 순간들은 돈벌이에 몰두하면 쉽게 잊힌다.

 

① 하루 5분, 감사할 것 3가지 적기 → 뇌는 긍정에 민감해짐
② 산책, 명상, 일기쓰기 등 감각을 깨우는 습관 만들기
③ 주말에 핸드폰을 끄고 자연이나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소소한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은 삶의 만족도를 스스로 높이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이는 연봉이 오르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자기 회복력이다.

 

④ 돈을 버는 방식도 나를 닮아야 한다

모두가 대기업, 모두가 투자, 모두가 유튜브를 하려 한다. 하지만 남들이 돈 버는 방식이 나에게 맞지 않으면, 그건 '일상의 착취'가 될 뿐이다.

 

① 성향에 맞는 수입 구조 설계 → 일의 지속 가능성 확보
② 좋아하지 않지만 버텨야 하는 일은 결국 번아웃 초래
③ 수익화보다 ‘몰입감’을 기준으로 선택할 것

 

성격 유형 MBTI와 직업 만족도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성향에 맞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직무 탈진’을 경험할 확률이 63% 낮았다. 결국 돈을 벌면서도 나를 지키는 방법은 따로 존재한다.

 

⑤ 가족과의 시간이 자산이다

“지금은 바빠서 애기랑 놀아줄 시간이 없어. 돈 좀 모이면 그때는 꼭 놀아줄 거야.” 그런 말은, 대부분 이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때’는 절대 오지 않기 때문이다.

 

① 하루 15분이라도 가족과 진심으로 소통하기
② 휴일엔 가족 우선 일정 잡기
③ 아이와의 추억은 돈으로 살 수 없는 평생 자산

 

육아정책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초등학교 입학 전 부모와 하루 30분 이상 대화한 아이는 자존감이 평균 1.7배 높고, 정서 발달지수도 우수했다. 즉,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은 미래를 위한 진짜 투자다.

 

⑥ ‘지금 이 순간’을 사는 연습

많은 사람이 ‘나중에’, ‘언젠가’를 말하며 현재를 희생한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을 살지 않으면, 결국 아무 순간도 살지 못하게 된다.

 

① 휴가를 미루기보다 짧게라도 바로 실행
② 하고 싶은 일은 캘린더에 바로 적고 구체화
③ 하루 한 가지라도 ‘나를 위한 선택’ 하기

 

심리학자 에이미 모린은 “행복한 사람의 공통점은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미루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삶은 누적된 현재의 총합이다. 오늘을 무시한 사람은 결국 어떤 날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⑦ 후회 없는 삶을 위한 질문

하버드대 종단연구에 따르면, 노년기의 가장 큰 후회는 “너무 일만 하느라 사랑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이었다. 후회하지 않기 위해, 오늘 당신은 어떤 질문을 던지고 있는가?

 

①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진짜 원하는 삶으로 연결되는가?
② 오늘 하루에서 기억에 남을 순간은 무엇인가?
③ 돈을 벌면서 나는 어떤 감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가?
④ 나에게 진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질문은 삶을 멈추고 되돌아보게 만든다. 그리고 그 되돌아봄이 인생의 속도를 조절해주는 유일한 브레이크가 된다. 우리는 모두 달릴 수 있지만, 방향이 틀리면 아무리 빨라도 의미가 없다.

 

 

 

맺는말

다시 지하철의 그 선배를 떠올려본다. 돈은 벌었지만 기억나는 건 하나도 없었다는 그의 말. 그 문장이 낯설지 않은 건, 어쩌면 우리 대부분이 그와 비슷한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돈은 중요하다. 하지만 삶의 이유는 돈이 아니라, 그 돈으로 함께 나누고 웃고 기억하는 순간들이다. 달려야 한다면, 나만의 속도로 달려야 한다. 그리고 가끔은 멈춰 서서 풍경도 보고, 옆 사람도 바라봐야 한다.

 

이 글이 마음에 닿았다면, ‘시간을 사는 소비법’, ‘일과 삶의 균형을 다시 설계하는 법’도 꼭 읽어보길 바란다. 당신의 삶은 충분히 아름답고, 소중하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